귀퉁이 서재
DATA - 4. 판다스 활용 Medical Appointment No-show 분석 본문
통계를 배제하고 판다스만을 활용하여 toy project로 Medical Appointment No-show를 분석해봤습니다. 데이터는 Kaggle에서 가져왔습니다. (Reference1) 본 링크에서 csv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Jupyter notebook으로 보시려면 제 깃헙 혹은 nbviewe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깃헙으로 들어가면 Jupyter notebook을 렌더링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거나 렌더링에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nbviewer는 Jupyter notebook을 미리 렌더링해서 보여주는 페이지입니다. (Reference2)
제 깃헙을 참고하실 분은 (Reference3)
Introduction
캐글의 'Medical Appointment No Shows'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본 데이터는 브라질의 병원 예약 데이터입니다. 브라질에서는 예약을 하고 실제로 오지 않는 No Show가 많다고 합니다. 어떤 특징을 가진 환자가 No Show가 많은지 분석하는 것이 본 toy project의 목적입니다. 단, 판다스 연습용이기 때문에 통계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본 분석만을 통해 No show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을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그저 그래프를 보고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입니다. 데이터 셋(Data set)에는 환자에 대한 총 14개 속성값(feature)이 있습니다. 아래는 그 속성값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 PatientId: 환자 구분자
- AppointmentID: 예약 구분자
- Gender: 남/녀 구분, (참고로, 여성이 남성보다 건강에 더 관심을 많이 가지기 때문에 여성 비율이 높다고 캐글에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 ScheduledDay: 예약을 하려고 전화한 날짜
- AppointmentDay: 진료 예약 날짜
- Age: 나이
- Neighbourhood: 사는 곳
- Scholarship: 이수함 / 이수하지 않음 구분 (사회 공헌 프로그램의 일종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Bolsa_Fam%C3%ADlia)
- Hipertension: 고혈압 여부
- Diabetes: 당뇨 여부
- Alcoholism: 알코올 중독 여부
- Handcap: 장애 여부
- SMS_received: SMS 수신 여부
- No-show: Yes or No (예약에 왔으면 ‘No’ 안 왔으면 'Yes')
분석에 사용할 독립 변수를 아래와 같이 선택해봤습니다.
- Gender
- Period between the scheduled day and appointment day.
- Age
- Scholarship
- Disease (hipertension, diabetes, alcoholism) - each element is counted as 1, sum of all
- SMS-received
종속 변수는 'No-show'입니다.
우선,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임포트합니다. Jupyter notebook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matplotlib inline
도 사용합니다.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matplotlib inline
Data Wrangling
데이터를 불러와서 클리닝하는 작업을 합니다.
Load a dataset
앞서 말한 것 처럼 noshowappointments-kagglev2-may-2016.csv
은 캐글에서 받아올 수 있습니다.
df = pd.read_csv("noshowappointments-kagglev2-may-2016.csv")
df.head()
PatientId | AppointmentID | Gender | ScheduledDay | AppointmentDay | Age | Neighbourhood | Scholarship | Hipertension | Diabetes | Alcoholism | Handcap | SMS_received | No-show | |
---|---|---|---|---|---|---|---|---|---|---|---|---|---|---|
0 | 2.987250e+13 | 5642903 | F | 2016-04-29T18:38:08Z | 2016-04-29T00:00:00Z | 62 | JARDIM DA PENHA | 0 | 1 | 0 | 0 | 0 | 0 | No |
1 | 5.589980e+14 | 5642503 | M | 2016-04-29T16:08:27Z | 2016-04-29T00:00:00Z | 56 | JARDIM DA PENHA | 0 | 0 | 0 | 0 | 0 | 0 | No |
2 | 4.262960e+12 | 5642549 | F | 2016-04-29T16:19:04Z | 2016-04-29T00:00:00Z | 62 | MATA DA PRAIA | 0 | 0 | 0 | 0 | 0 | 0 | No |
3 | 8.679510e+11 | 5642828 | F | 2016-04-29T17:29:31Z | 2016-04-29T00:00:00Z | 8 | PONTAL DE CAMBURI | 0 | 0 | 0 | 0 | 0 | 0 | No |
4 | 8.841190e+12 | 5642494 | F | 2016-04-29T16:07:23Z | 2016-04-29T00:00:00Z | 56 | JARDIM DA PENHA | 0 | 1 | 1 | 0 | 0 | 0 | No |
데이터 타입과 elements 갯수를 체크합니다.
df.info()
<class 'pandas.core.frame.DataFrame'>
RangeIndex: 110527 entries, 0 to 110526
Data columns (total 14 columns):
PatientId 110527 non-null float64
AppointmentID 110527 non-null int64
Gender 110527 non-null object
ScheduledDay 110527 non-null object
AppointmentDay 110527 non-null object
Age 110527 non-null int64
Neighbourhood 110527 non-null object
Scholarship 110527 non-null int64
Hipertension 110527 non-null int64
Diabetes 110527 non-null int64
Alcoholism 110527 non-null int64
Handcap 110527 non-null int64
SMS_received 110527 non-null int64
No-show 110527 non-null object
dtypes: float64(1), int64(8), object(5)
memory usage: 11.8+ MB
null 값이 없기 때문에 null 제거를 안해도 됩니다.
Remove duplicated elements
중복행이 있는지 검사합니다.
df.duplicated().sum()
0
중복행 역시 없습니다.
Fix the typo
column 값을 보면 'handcap' 이라고 오타가 있습니다. 이를 'handicap'으로 수정합니다.
df.rename(columns={"Handcap": "Handicap"}, inplace=True)
Change the data type
SchduledDay와 AppointmentDay 값을 보면 날짜와 시간까지 나와있습니다. 시간까지 고려하면 좋겠지만 AppointmentDay의 시간은 모두 00:00:00이기 때문에 고려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날짜, 시간 타입을 날짜만 나와있는 타입으로 변경해서 사용할 겁니다.
df.AppointmentDay = pd.to_datetime(df.AppointmentDay).dt.date
df.ScheduledDay = pd.to_datetime(df.ScheduledDay).dt.date
SchduledDay와 AppointmentDay 의 차이, 즉 예약을 한 시점으로부터 예약 날짜까지의 기간을 구해보겠습니다. 그 기간이 짧을수록 예약날에 진료를 갈 확률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df['PeriodBetween'] = df.AppointmentDay - df.ScheduledDay
# convert derived datetime to int
df['PeriodBetween'] = df['PeriodBetween'].dt.days
df.head()
PatientId | AppointmentID | Gender | ScheduledDay | AppointmentDay | Age | Neighbourhood | Scholarship | Hipertension | Diabetes | Alcoholism | Handicap | SMS_received | No-show | PeriodBetween | |
---|---|---|---|---|---|---|---|---|---|---|---|---|---|---|---|
0 | 2.987250e+13 | 5642903 | F | 2016-04-29 | 2016-04-29 | 62 | JARDIM DA PENHA | 0 | 1 | 0 | 0 | 0 | 0 | No | 0 |
1 | 5.589980e+14 | 5642503 | M | 2016-04-29 | 2016-04-29 | 56 | JARDIM DA PENHA | 0 | 0 | 0 | 0 | 0 | 0 | No | 0 |
2 | 4.262960e+12 | 5642549 | F | 2016-04-29 | 2016-04-29 | 62 | MATA DA PRAIA | 0 | 0 | 0 | 0 | 0 | 0 | No | 0 |
3 | 8.679510e+11 | 5642828 | F | 2016-04-29 | 2016-04-29 | 8 | PONTAL DE CAMBURI | 0 | 0 | 0 | 0 | 0 | 0 | No | 0 |
4 | 8.841190e+12 | 5642494 | F | 2016-04-29 | 2016-04-29 | 56 | JARDIM DA PENHA | 0 | 1 | 1 | 0 | 0 | 0 | No | 0 |
No-show 칼럼에서 Yes가 예약에 안 온 것이고, No가 예약에 온 것이기 때문에 헷갈립니다. 쉬운 판단을 위해 'No-show'를 'Show'로 바꾸겠습니다. 또한 Yes는 0, No는 1로 데이터를 바꿉니다. 결과적으로 0이면 No-show, 1이면 Show입니다.
df.rename(columns={"No-show": "Show"}, inplace=True)
df.replace({'Show': {'No': 1, 'Yes': 0}}, inplace = True)
df.head()
PatientId | AppointmentID | Gender | ScheduledDay | AppointmentDay | Age | Neighbourhood | Scholarship | Hipertension | Diabetes | Alcoholism | Handicap | SMS_received | Show | PeriodBetween | |
---|---|---|---|---|---|---|---|---|---|---|---|---|---|---|---|
0 | 2.987250e+13 | 5642903 | F | 2016-04-29 | 2016-04-29 | 62 | JARDIM DA PENHA | 0 | 1 | 0 | 0 | 0 | 0 | 1 | 0 |
1 | 5.589980e+14 | 5642503 | M | 2016-04-29 | 2016-04-29 | 56 | JARDIM DA PENHA | 0 | 0 | 0 | 0 | 0 | 0 | 1 | 0 |
2 | 4.262960e+12 | 5642549 | F | 2016-04-29 | 2016-04-29 | 62 | MATA DA PRAIA | 0 | 0 | 0 | 0 | 0 | 0 | 1 | 0 |
3 | 8.679510e+11 | 5642828 | F | 2016-04-29 | 2016-04-29 | 8 | PONTAL DE CAMBURI | 0 | 0 | 0 | 0 | 0 | 0 | 1 | 0 |
4 | 8.841190e+12 | 5642494 | F | 2016-04-29 | 2016-04-29 | 56 | JARDIM DA PENHA | 0 | 1 | 1 | 0 | 0 | 0 | 1 | 0 |
Modify nonsense values
'PeriodBetween' (SchduledDay와 AppointmentDay 의 차이) 속성에 음수 값이 있습니다. 예약 당일 이후에 예약을 했다는 뜻인데 말이 안되는 데이터입니다. 음수는 모두 0으로 바꾸겠습니다.
df.PeriodBetween.describe()
count 110527.000000
mean 10.183702
std 15.254996
min -6.000000
25% 0.000000
50% 4.000000
75% 15.000000
max 179.000000
Name: PeriodBetween, dtype: float64
df[df['PeriodBetween'] < 0] = 0
df.PeriodBetween.describe()
count 110527.000000
mean 10.183792
std 15.254924
min 0.000000
25% 0.000000
50% 4.000000
75% 15.000000
max 179.000000
Name: PeriodBetween, dtype: float64
Age 속성에도 -1이라는 이상한 값이 있어 모두 0으로 바꿨습니다.
df.Age.describe()
count 110527.000000
mean 37.087363
std 23.110888
min -1.000000
25% 18.000000
50% 37.000000
75% 55.000000
max 115.000000
Name: Age, dtype: float64
df.replace({'Age': {-1: 0}}, inplace = True)
df.Age.describe()
count 110527.000000
mean 37.087372
std 23.110873
min 0.000000
25% 18.000000
50% 37.000000
75% 55.000000
max 115.000000
Name: Age, dtype: float64
Gender 속성에 'F'와 'M' 이외에 0이라는 값이 있습니다. 이 값을 가지고 있는 행은 모두 삭제했습니다.
df.groupby('Gender').mean()
PatientId | AppointmentID | Age | Scholarship | Hipertension | Diabetes | Alcoholism | Handicap | SMS_received | Show | PeriodBetween | |
---|---|---|---|---|---|---|---|---|---|---|---|
Gender | |||||||||||
0 | 0.000000e+00 | 0.000000e+00 | 0.000000 | 0.000000 | 0.000000 | 0.000000 | 0.000000 | 0.000000 | 0.000000 | 0.000000 | 0.000000 |
F | 1.460053e+14 | 5.674337e+06 | 38.893927 | 0.123237 | 0.213525 | 0.078038 | 0.017025 | 0.019530 | 0.336902 | 0.796887 | 10.502248 |
M | 1.502570e+14 | 5.677103e+06 | 33.737443 | 0.051906 | 0.167041 | 0.060411 | 0.055241 | 0.027246 | 0.291586 | 0.800362 | 9.593744 |
null_containing_rows_index = df[df.Gender == 0].index
df.drop(index = null_containing_rows_index, inplace = True)
df.Gender.describe()
count 110522
unique 2
top F
freq 71837
Name: Gender, dtype: object
Segment PeriodBetween values into bins
'PeriodBetween' 속성의 최댓값은 179 최솟값은 0입니다. 범위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4개의 카테고리로 나누겠습니다. 카테고리는 (-1, 1), (1, 5), (5, 10), (10, 200)로 정했습니다. 카테고리의 규격이 일정하지 않은 이유는 0에 가까울 수록 데이터가 많기 때문입니다.
bins = pd.IntervalIndex.from_tuples([(-1, 1), (1, 5), (5, 10), (10, 200)])
labels=["rightNow", "fewDaysAgo", "severalDaysAgo", "longAgo"]
df['PeriodBetween'] = pd.cut(df['PeriodBetween'], bins=bins, labels=labels)
df.head()
PatientId | AppointmentID | Gender | ScheduledDay | AppointmentDay | Age | Neighbourhood | Scholarship | Hipertension | Diabetes | Alcoholism | Handicap | SMS_received | Show | PeriodBetween | |
---|---|---|---|---|---|---|---|---|---|---|---|---|---|---|---|
0 | 2.987250e+13 | 5642903 | F | 2016-04-29 | 2016-04-29 | 62 | JARDIM DA PENHA | 0 | 1 | 0 | 0 | 0 | 0 | 1 | (-1, 1] |
1 | 5.589980e+14 | 5642503 | M | 2016-04-29 | 2016-04-29 | 56 | JARDIM DA PENHA | 0 | 0 | 0 | 0 | 0 | 0 | 1 | (-1, 1] |
2 | 4.262960e+12 | 5642549 | F | 2016-04-29 | 2016-04-29 | 62 | MATA DA PRAIA | 0 | 0 | 0 | 0 | 0 | 0 | 1 | (-1, 1] |
3 | 8.679510e+11 | 5642828 | F | 2016-04-29 | 2016-04-29 | 8 | PONTAL DE CAMBURI | 0 | 0 | 0 | 0 | 0 | 0 | 1 | (-1, 1] |
4 | 8.841190e+12 | 5642494 | F | 2016-04-29 | 2016-04-29 | 56 | JARDIM DA PENHA | 0 | 1 | 1 | 0 | 0 | 0 | 1 | (-1, 1] |
Segment Age values into bins
df.Age.describe()
count 110522.00000
mean 37.08905
std 23.11005
min 0.00000
25% 18.00000
50% 37.00000
75% 55.00000
max 115.00000
Name: Age, dtype: float64
bins = pd.IntervalIndex.from_tuples([(0, 18), (18, 37), (37, 55), (55, 115)])
df['Age'] = pd.cut(df['Age'], bins)
df.head()
PatientId | AppointmentID | Gender | ScheduledDay | AppointmentDay | Age | Neighbourhood | Scholarship | Hipertension | Diabetes | Alcoholism | Handicap | SMS_received | Show | PeriodBetween | |
---|---|---|---|---|---|---|---|---|---|---|---|---|---|---|---|
0 | 2.987250e+13 | 5642903 | F | 2016-04-29 | 2016-04-29 | (55, 115] | JARDIM DA PENHA | 0 | 1 | 0 | 0 | 0 | 0 | 1 | (-1, 1] |
1 | 5.589980e+14 | 5642503 | M | 2016-04-29 | 2016-04-29 | (55, 115] | JARDIM DA PENHA | 0 | 0 | 0 | 0 | 0 | 0 | 1 | (-1, 1] |
2 | 4.262960e+12 | 5642549 | F | 2016-04-29 | 2016-04-29 | (55, 115] | MATA DA PRAIA | 0 | 0 | 0 | 0 | 0 | 0 | 1 | (-1, 1] |
3 | 8.679510e+11 | 5642828 | F | 2016-04-29 | 2016-04-29 | (0, 18] | PONTAL DE CAMBURI | 0 | 0 | 0 | 0 | 0 | 0 | 1 | (-1, 1] |
4 | 8.841190e+12 | 5642494 | F | 2016-04-29 | 2016-04-29 | (55, 115] | JARDIM DA PENHA | 0 | 1 | 1 | 0 | 0 | 0 | 1 | (-1, 1] |
Remove unnecessary columns
이제 분석에 필요하지 않은 속성은 모두 제거합니다.
df.drop(columns=['Neighbourhood', 'ScheduledDay', 'AppointmentDay'], inplace=True)
df.head()
PatientId | AppointmentID | Gender | Age | Scholarship | Hipertension | Diabetes | Alcoholism | Handicap | SMS_received | Show | PeriodBetween | |
---|---|---|---|---|---|---|---|---|---|---|---|---|
0 | 2.987250e+13 | 5642903 | F | (55, 115] | 0 | 1 | 0 | 0 | 0 | 0 | 1 | (-1, 1] |
1 | 5.589980e+14 | 5642503 | M | (55, 115] | 0 | 0 | 0 | 0 | 0 | 0 | 1 | (-1, 1] |
2 | 4.262960e+12 | 5642549 | F | (55, 115] | 0 | 0 | 0 | 0 | 0 | 0 | 1 | (-1, 1] |
3 | 8.679510e+11 | 5642828 | F | (0, 18] | 0 | 0 | 0 | 0 | 0 | 0 | 1 | (-1, 1] |
4 | 8.841190e+12 | 5642494 | F | (55, 115] | 0 | 1 | 1 | 0 | 0 | 0 | 1 | (-1, 1] |
Exploratory Data Analysis
Question 1 - 예약 신청 날짜와 예약 당일 간의 기간이 No Show에 영향을 미치는가?
Groupby를 활용하여 'PeriodBetween' 의 영향을 보겠습니다.
df_PeriodBetween = df.groupby('PeriodBetween').mean()['Show']
df_PeriodBetween.head()
PeriodBetween
(-1, 1] 0.933639
(1, 5] 0.758778
(5, 10] 0.729521
(10, 200] 0.674853
Name: Show, dtype: float64
예약 신청 날짜가 예약 당일과 가까울 수록 No Show 확률이 적은 경향이 있습니다. 단, 데이터 결과가 그렇게 나왔다는 것이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plot을 여러번 사용할 것이므로 간단히 function으로 만들었습니다.
def draw_plot(locations, heights, labels, chartTitle, chartXlabel, chartYlabel):
plt.bar(locations, heights, tick_label=labels)
plt.title(chartTitle)
plt.xlabel(chartXlabel)
plt.ylabel(chartYlabel);
locations = [1, 2, 3, 4]
heights = df_PeriodBetween
labels=["rightNow", "fewDaysAgo", "severalDaysAgo", "longAgo"]
chartTitle = 'Probability of showing up'
chartXlabel = 'PeriodBetween'
chartYlabel = 'Show Rate'
draw_plot(locations, heights, labels, chartTitle, chartXlabel, chartYlabel);
Question 2 - 성별이 No Show에 영향을 미치는가?
우선, 남녀 비율이 어떻게 되는지 봅니다.
plt.pie(df.Gender.value_counts(), labels=['Female', 'Male']);
여성이 더 많은 예약을 했습니다.
df_gender = df.groupby('Gender').mean()['Show']
df_gender
Gender
F 0.796887
M 0.800362
Name: Show, dtype: float64
locations = [1, 2]
heights = df_gender
labels = ["Female", "Male"]
chartXlabel = 'Gender'
draw_plot(locations, heights, labels, chartTitle, chartXlabel, chartYlabel);
남녀 간의 No show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Question 3 - 나이가 No Show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비슷한 방식으로 차트를 그립니다.
df_Age = df.groupby('Age').mean()['Show']
df_Age
Age
(0, 18] 0.774658
(18, 37] 0.764680
(37, 55] 0.804720
(55, 115] 0.843581
Name: Show, dtype: float64
locations = [1, 2, 3, 4]
heights = df_Age
labels = ["very young", "young", "old", "very old"]
chartXlabel = 'Age'
draw_plot(locations, heights, labels, chartTitle, chartXlabel, chartYlabel);
나이가 많을 수록 No show 확률이 적습니다.
Question 4 - 브라질 scholarship No Show에 영향을 미치는가?
df_scholarship = df.groupby('Scholarship').mean()['Show']
df_scholarship
Scholarship
0 0.801969
1 0.762637
Name: Show, dtype: float64
locations = [1, 2]
heights = df_scholarship
labels = ["don't get a Bolsa Família", "get a Bolsa Família"]
chartXlabel = 'Sholarship'
draw_plot(locations, heights, labels, chartTitle, chartXlabel, chartYlabel);
브라질 sholarship인 Bolsa Familia을 받은 사람들의 No Show 확률이 높습니다.
Question 5 - 질병이 No Show에 영향을 미치는가?
Let Disease be the sum of Hipertension, Diabetes and Alcoholism.
df['Disease'] = df['Hipertension'] + df['Diabetes'] + df['Alcoholism']
df_disease = df.groupby('Disease').mean()['Show']
df_disease
Disease
0 0.790955
1 0.822034
2 0.822963
3 0.820312
Name: Show, dtype: float64
locations = [1, 2, 3, 4]
heights = df_disease
labels = [0, 1, 2, 3]
chartXlabel = 'The Number of Disease'
draw_plot(locations, heights, labels, chartTitle, chartXlabel, chartYlabel);
질병의 수가 많을 수록 No show 확률이 적습니다.
Question 6 - 장애가 No Show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마찬가지로 차트를 그립니다.
df_handicap = df.groupby('Handicap').mean()['Show']
df_handicap
Handicap
0 0.797669
1 0.821569
2 0.797814
3 0.769231
4 0.666667
Name: Show, dtype: float64
df.groupby('Handicap').mean()['Show']
Handicap
0 0.797669
1 0.821569
2 0.797814
3 0.769231
4 0.666667
Name: Show, dtype: float64
locations = [1, 2, 3, 4, 5]
heights = df_handicap
labels = [0, 1, 2, 3, 4]
chartXlabel = 'Severity of Handicap'
draw_plot(locations, heights, labels, chartTitle, chartXlabel, chartYlabel);
장애 수치가 높을 수록 No show 확률이 높습니다. 단, 0일때 No show 확률이 가장 낮지는 않습니다.
최종적으로 ipynb으로 저장합니다. 0을 리턴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한 것입니다.
from subprocess import call
call(['python', '-m', 'nbconvert', 'Investigate_a_Dataset.ipynb'])
0
Conclusions
나이, 질병 수치가 높을 수록 No show 확률이 작으며, PeriodBetween, Scholarship 수치가 높을 수록 No show 확률이 높습니다. 앞서 말했던 것 처럼 판다스를 활용해보는데 의의가 있었습니다. 통계적 검증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향성을 말할 수는 없습니다.
References
Reference1 : 캐글 Medical appointment No-shows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 6. 기술 통계학과 추측 통계학 (0) | 2019.04.08 |
---|---|
DATA - 5. 데이터의 종류 (양적 데이터, 질적 데이터) (2) | 2019.04.06 |
DATA - 3. Data Analysis Process & Pandas Basic (2) | 2019.03.31 |
DATA - 2. Jupyter Notebooks (0) | 2019.03.31 |
DATA - 1. Anaconda (0) | 201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