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하며 이 기능을 제가 구현했어야 했는데 너무나 도⋯
- 고맙습니다 !!
- 이제까지 읽은 글 중에 가장 쉽고 자세하게 설명된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 과찬이십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 하나의 예시로 가볍고 이해가 쏙쏙되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려요! Decisio⋯
- 댓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
- mask image 활용해서 open cv 관련해서 알아보고 있었는데 정말 도움 ⋯
- 아이고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 제가 본 R-CNN 정리글 중에 가장 이해가 잘 되는것 같습니다! 정성스럽고 자세⋯
- 오 빠른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포스팅 잘 보구 가요!! :)
- RCNN 계열을 2 stage detector, YOLO 계열을 1 stage ⋯
목록서양 철학사 (4)
귀퉁이 서재

제16장 프래그머티즘과 과정의 철학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면서 변화의 개념에 초점을 둔 두 개의 철학이 생겨났다. 프래그머티즘과 과정의 철학이 그것이다. 두 철학은 고정불변의 진리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그 대신 그것들은 변화하는 경험과 형이상학적 과정의 입장에서 사물을 이해해야 했다. 프래그머티즘은 미국의 철학 기조를 마련하는 데 가장 주도적인 공헌을 했다. 프래그머티즘을 처음 주장한 철학자는 찰스 퍼스이며, 윌리엄 제임스에 의해 대중적으로 퍼져 나가게 되었다. 또한 존 듀이는 이 철학으로 미국의 제도상 여러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이 세 철학자의 핵심적인 주장은 일생생활을 어떤 식으로든 변화시키지 않는 철학은 별다른 가치가 없다는 것이다. 프래그머티즘은 형이상학적 체계라기보다 문제 ..

제9장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 1. 중세의 마감 중세가 끝나가면서 중세 종교와 철학의 융합은 뒤틀리기 시작했다. 르네상스가 도래하자 이 둘은 파탄에 이르게 되었다. 르네상스는 문자 그대로 재생(rebirth)이라는 뜻이며, 15~16세기 동안 일어난 고대 그리스 학문의 부활을 일컫는다. 중세 시대 학자들은 플로티노스나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물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간접적으로 접했다. 그러나 르네상스 기간 동안 그리스 필사본이 아테네에서 로마로 유입되어 원전을 직접 접할 수 있게 되었다. 15세기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으로 인해 책은 만들기 더욱 쉬워졌다. 그로 인해 문화의 확산은 더욱 빨라졌다. 철학자들은 고대 철학에 주석을 달기보다는, 독창적인 저술에 정진하게 되었다. 또한 로마 가톨릭 교회에 저..

제5장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고대 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고대 철학은 네 가지 부류로 나뉜다. 그것은 바로 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학파, 회의주의자, 신플라톤주의자이다. 에피쿠로스학파는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을 받아들였고, 스토아학파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의 근원은 불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였고, 회의주의자는 소크라테스적인 회의의 방법을 자신들의 탐구 방법으로 이용했고, 신플라톤주의자는 플라톤에게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모두 실천적인 철학을 강조했다. 알렉산드로스에 의해 로마 대제국이 생기고 그리스의 소도시도 로마 제국에 흡수됨에 따라 더 이상 사람들은 이상 사회에 관한 문제들을 사색하는데 관심을 잃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변화하는 조건 속에서 삶의 방향을 제시해줄 실천 철학이었다. 따라서 더 이상..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은 무슨 효용이 있는가?'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한다. 나 역시 그랬다. 특히 나는 철학사 공부의 의미가 궁금했다. 플라톤의 철학과 니체의 철학은 완전히 상반된다. 그런 상황에서 플라톤 철학을 공부하는 것과 니체 철학을 공부하는 게 도무지 무슨 의미인지 궁금했다. 서로 상반되는 철학 중 어떤 것이 진리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플라톤 철학을 공부하는 것과 니체 철학을 공부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정말 궁금했다. 니체 철학이 진리라면 플라톤 철학은 왜 공부하는 것일까? 지난 2,500년간 수많은 철학자가 있었고 각 철학자마다 고유의 철학이 있었다. 철학사를 공부한다는 것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가? 오랜 고민 끝에 답을 구하지 못해 모교의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