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니체 전기 (2)
귀퉁이 서재

작년에 뤼디거 자프란스키의 를 읽었다. 니체 삶에 초점을 둔 전기라기보다는 사상의 전기였다. 내용이 쉽진 않아 꽤 집중해서 읽은 기억이 있다. 형광펜으로 밑줄을 그어가며. 이번에는 니체 삶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전기를 읽고 싶었다. 그래서 고른 책이 수 프리도의 이다. 뤼디거 자프란스키의 가 512쪽이었는데, 수 프리도의 은 692쪽이다. 분량이 더 많지만 내용이 술술 읽혀 자프란스키 책보다 훨씬 빨리 읽었다. 니체가 쓴 책이나 그의 철학보다도 '삶'을 중심으로 정리를 해봤다. 순전히 나를 위해 정리한다. 기억을 보듬으려고. (이 글을 다 읽으려는 분이 한 명이라도 있을까 싶지만, 혹시 있다면 니체 사상에 대한 중요한 내용이 별로 없으니 뒤로 가기를 하는 게 좋겠습니다. 시간 낭비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지금까지 니체에 관한 책을 적잖이 본 거 같다. 니체 본인의 저서든 다른 사람이 니체 사상을 설명한 책이든 말이다. 니체를 처음 접한 때는 2013년이었을 것이다. 니체 사상을 처음 접했을 때는 어리둥절했다. 무슨 말을 하는 건지 명확하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 여러 책을 읽으니 명확해지는 것처럼 보였다. '이 말이 이런 뜻이었구나!'라는 느낌이 들었다. 시간이 흘러 다른 니체 책들을 읽고 강연도 들었는데, 기존에 내가 알던 니체랑 조금 달랐다. 참 골치 아프게 만드는 철학자다. 다시 니체의 책을 접하니 장막이 사라지는 기분이었다. 퍼즐이 맞춰지는 듯했다. 그리고 이 책을 다 읽으니 내가 모르던 또 다른 니체 모습이 보였다. 알다가 모르다가를 반복한다. 몇십 년 간 니체 연구를 해온 백승영 교수의 강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