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퉁이 서재
머신러닝 - 4. 결정 트리(Decision Tree) 본문
결정 트리(Decision Tree, 의사결정트리, 의사결정나무라고도 함)는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 모두 가능한 지도 학습 모델 중 하나입니다. 결정 트리는 스무고개 하듯이 예/아니오 질문을 이어가며 학습합니다. 매, 펭귄, 돌고래, 곰을 구분한다고 생각해봅시다. 매와 펭귄은 날개를 있고, 돌고래와 곰은 날개가 없습니다. '날개가 있나요?'라는 질문을 통해 매, 펭귄 / 돌고래, 곰을 나눌 수 있습니다. 매와 펭귄은 '날 수 있나요?'라는 질문으로 나눌 수 있고, 돌고래와 곰은 '지느러미가 있나요?'라는 질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는 결정 트리를 도식화한 것입니다.
이렇게 특정 기준(질문)에 따라 데이터를 구분하는 모델을 결정 트리 모델이라고 합니다. 한번의 분기 때마다 변수 영역을 두 개로 구분합니다. 결정 트리에서 질문이나 정답을 담은 네모 상자를 노드(Node)라고 합니다. 맨 처음 분류 기준 (즉, 첫 질문)을 Root Node라고 하고, 맨 마지막 노드를 Terminal Node 혹은 Leaf Node라고 합니다.
전체적인 모양이 나무를 뒤짚어 높은 것과 같아서 이름이 Decision Tree입니다.
프로세스
결정 트리 알고리즘의 프로세스를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위와 같이 데이터를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는 질문을 기준으로 나눕니다.
나뉜 각 범주에서 또 다시 데이터를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는 질문을 기준으로 나눕니다. 이를 지나치게 많이 하면 아래와 같이 오버피팅이 됩니다. 결정 트리에 아무 파라미터를 주지 않고 모델링하면 오버피팅이 됩니다.
가지치기(Pruning)
오버피팅을 막기 위한 전략으로 가지치기(Pruning)라는 기법이 있습니다. 트리에 가지가 너무 많다면 오버피팅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가지치기란 나무의 가지를 치는 작업을 말합니다. 즉, 최대 깊이나 터미널 노드의 최대 개수, 혹은 한 노드가 분할하기 위한 최소 데이터 수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min_sample_split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한 노드에 들어있는 최소 데이터 수를 정해줄 수 있습니다. min_sample_split = 10이면 한 노드에 10개의 데이터가 있다면 그 노드는 더 이상 분기를 하지 않습니다. 또한, max_depth를 통해서 최대 깊이를 지정해줄 수도 있습니다. max_depth = 4이면, 깊이가 4보다 크게 가지를 치지 않습니다. 가지치기는 사전 가지치기와 사후 가지치기가 있지만 sklearn에서는 사전 가지치기만 지원합니다.
알고리즘: 엔트로피(Entropy), 불순도(Impurity)
불순도(Impurity)란 해당 범주 안에 서로 다른 데이터가 얼마나 섞여 있는지를 뜻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위쪽 범주는 불순도가 낮고, 아래쪽 범주는 불순도가 높습니다. 바꾸어 말하면 위쪽 범주는 순도(Purity)가 높고, 아래쪽 범주는 순도가 낮습니다. 위쪽 범주는 다 빨간점인데 하나만 파란점이므로 불순도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아래쪽 범주는 5개는 파란점, 3개는 빨간점으로 서로 다른 데이터가 많이 섞여 있어 불순도가 높습니다.
한 범주에 하나의 데이터만 있다면 불순도가 최소(혹은 순도가 최대)이고, 한 범주 안에 서로 다른 두 데이터가 정확히 반반 있다면 불순도가 최대(혹은 순도가 최소)입니다. 결정 트리는 불순도를 최소화(혹은 순도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학습을 진행합니다.
엔트로피(Entropy)는 불순도(Impurity)를 수치적으로 나타낸 척도입니다. 엔트로피가 높다는 것은 불순도가 높다는 뜻이고, 엔트로피가 낮다는 것은 불순도가 낮다는 뜻입니다. 엔트로피가 1이면 불순도가 최대입니다. 즉, 한 범주 안에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정확히 반반 있다는 뜻입니다. 엔트로피가 0이면 불순도는 최소입니다. 한 범주 안에 하나의 데이터만 있다는 뜻입니다. 엔트로피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i = 한 영역 안에 존재하는 데이터 가운데 범주 i에 속하는 데이터의 비율)
엔트로피 예제
공식을 활용하여 엔트로피를 구하는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는 경사, 표면, 속도 제한을 기준으로 속도가 느린지 빠른지 분류해놓은 표입니다.
경사 | 표면 | 속도 제한 | 속도 |
steep | bumpy | yes | slow |
steep | smooth | yes | slow |
flat | bumpy | no | fast |
steep | smooth | no | fast |
첫줄을 보면 경사가 가파르고(steep), 표면이 울퉁불퉁하고(bumpy), 속도 제한이 있다면(yes) 속도가 느리다(slow)라고 분류했습니다. X variables가 경사, 표면, 속도 제한이고, Y variable이 속도입니다. 이때 엔트로피를 기반으로 결정 트리 모델링 해보겠습니다.
속도 라벨에는 slow, slow, fast, fast로 총 4개의 examples가 있습니다. Pi는 한 영역 안에 존재하는 데이터 가운데 범주 i에 속하는 데이터의 비율이라고 했습니다. i를 slow라고 했을 때, P_slow = 0.5입니다. slow 라벨 갯수 = 2개, 전체 examples 수 = 4개이기 때문에 P_slow = 2/4 = 0.5입니다. 마찬가지로, P_fast도 0.5입니다. fast 라벨 갯수가 2개이기 때문에 2/4로 0.5입니다. 즉 P_slow = 0.5, P_fast = 0.5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범주 전체의 엔트로피는 얼마일까요? 바로 1입니다.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정확히 반반 있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봤던 엔트로피 공식에 그래도 대입을 해 엔트로피를 구해보겠습니다.
Entropy = - P_slow * log₂(P_slow) - P_fast * log₂(P_fast) = - 0.5 * log₂(0.5) - 0.5 * log₂(0.5) = 1
공식에 의해서도 1이라고 구할 수 있고, 데이터가 정확히 반반 (slow 2개, fast 2개)이므로 1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보 획득 (Information gain)
엔트로피가 1인 상태에서 0.7인 상태로 바뀌었다면 정보 획득(information gain)은 0.3입니다. 분기 이전의 엔트로피에서 분기 이후의 엔트로피를 뺀 수치를 정보 획득이라고 합니다. 정보 획득은 아래와 같이 공식화할 수 있습니다.
Information gain = entropy(parent) - [weighted average] entropy(children)
entropy(parent)는 분기 이전 엔트로피이고, entropy(children)은 분기 이후 엔트로피입니다. 이때, [weighted average] entropy(children)는 entropy(childeren)의 가중 평균을 뜻합니다. 분기 이후 엔트로피에 대해 가중 평균을 하는 이유는 분기를 하면 범주가 2개 이상으로 쪼개지기 때문입니다. 범주가 하나라면 위 엔트로피 공식으로 바로 엔트로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범주가 2개 이상일 경우 가중 평균을 활용하여 분기 이후 엔트로피를 구하는 것입니다.
결정 트리 알고리즘은 정보 획득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학습이 진행됩니다. 어느 feature의 어느 분기점에서 정보 획득이 최대화되는지 판단을 해서 분기가 진행됩니다.
위에서 예로 든 속도 문제를 다시 보겠습니다. 맨 처음 전체 엔트로피 = 1 이라고 했습니다. 즉, entropy of parent = 1입니다.
entropy(parent) = 1
경사 기준 분기
우선, 경사(grade)를 기준으로 첫 분기를 해보겠습니다. 전체 데이터 중 steep는 3개, flat는 1개 있습니다. steep와 flat을 기준으로 분기를 해주면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steep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총 3개이며, 이때의 속도는 slow, slow, fast입니다. 반면 flat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1개이며, 이때의 속도는 fast입니다. flat에 해당하는 노드의 엔트로피는 얼마일까요? (아래 그림에서 오른쪽 노드) 한 노드에 fast라는 하나의 데이터만 존재하므로 엔트로피는 0입니다.
따라서, entropy(flat) = 0 입니다.
이제 entropy(steep). 즉, steep로 분기했을 때의 엔트로피를 구해보겠습니다. 이는 위 그림의 왼쪽 노드에 해당합니다. slow가 2개, fast가 1개이므로 P_slow = 2/3, P_fast = 1/3입니다. 따라서 엔트로피 공식에 의해
entropy(steep) = - P_slow * log2(P_slow) - P_fast * log2(P_fast) = - (2/3) * log2(2/3) - (1/3) * log2(1/3) = 0.9184 입니다.
entropy(flat) = 0 이고, entropy(steep) = 0.9184입니다. 이제 분기 이후 노드에 대한 가중 평균을 구해보겠습니다.
[weighted average] entropy(children) = weighted average of steep * entropy(steep) + weighted average of flat * entropy(flat) = 3/4 * (0.9184) + 1/4 * (0) = 0.6888
(weighted average of steep = 3/4인 이유는 4개의 데이터 중 steep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3개이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weighted average of flat = 1/4인 이유는 4개의 데이터 중 flat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1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사(grade)를 기준으로 분기한 후의 엔트로피는 0.6888 입니다. 이제 정보 획득 공식을 통해 정보 획득량을 구해보겠습니다.
information gain = entropy(parent) - [weighted average] entropy(children) = 1 - 0.6888 = 0.3112
경사 feature를 기준으로 분기를 했을 때는 0.3112만큼의 정보 획득(information gain)이 있다는 뜻입니다.
표면 기준 분기
표면(bumpiness)을 기준으로 분기했을 때는 bumpy에는 slow, fast, smooth에도 slow, fast가 있습니다. 하나의 범주에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정확히 반반 있습니다. 이럴 때 엔트로피는 1입니다. 공식으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entropy(bumpy) = - P_slow * log2(P_slow) - P_fast * log2(P_fast) = - (1/2) * log2(1/2) - (1/2) * log2(1/2) = 1
entropy(smooth) = - P_slow * log2(P_slow) - P_fast * log2(P_fast) = - (1/2) * log2(1/2) - (1/2) * log2(1/2) = 1
입니다. 따라서,
information gain = entropy(parent) - [weighted average] entropy(children) = 1 - (2/4) * 1 - (2/4) * 1 = 0 입니다.
표면을 기준으로 분기했을 때는 정보 획득이 전혀 없다는 뜻입니다.
속도제한 기준 분기
마찬가지로 계산을 해보면
entropy(yes) = - P_slow * log2(P_slow) - P_fast * log2(P_fast) = - (1) * log2(1) - (0) * log2(0) = 0
entropy(no) = - P_slow * log2(P_slow) - P_fast * log2(P_fast) = - (0) * log2(0) - (1) * log2(1) = 0
입니다. 따라서,
information gain = 1 - (2/4) * 0 - (2/4) * 0 = 1입니다.
경사, 표면, 속도제한 기준으로 분기 했을 때 정보 획득은 각각 0.3112, 0, 1입니다. 결정트리는 정보 획득이 가장 많은 방향으로 학습이 진행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첫 분기점을 속도제한 기준으로 잡습니다. 이런식으로 max_depth나 min_sample_split으로 설정한 범위까지 분기를 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결정트리의 전체적인 알고리즘입니다.
실습
사이킷런에서 제공하는 유방암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정트리 분류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전반적인 방식은 지금까지 했던 다른 머신러닝 모델과 유사합니다. Classifier를 만들고, fitting한 뒤, Test해보는 식입니다. Classifier만 DecisionTreeClassfier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게 거의 없습니다.
from sklearn.tree import DecisionTreeClassifier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breast_cancer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cancer = load_breast_cancer()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
cancer.data, cancer.target, stratify=cancer.target, random_state=42)
tree = DecisionTreeClassifier(random_state=0)
tree.fit(X_train, y_train)
print("훈련 세트 정확도: {:.3f}".format(tree.score(X_train, y_train)))
print("테스트 세트 정확도: {:.3f}".format(tree.score(X_test, y_test)))
>>> 훈련 세트 정확도: 1.000
>>> 테스트 세트 정확도: 0.937
결정 트리의 default는 max_depth, min_sample_split 제한이 없으므로 한 범주에 한 종류의 데이터가 남을 때까지 가지를 칩니다. 따라서 훈련 세트의 정확도는 100%인데 테스트 세트의 정확도는 93.7%입니다.
tree = DecisionTreeClassifier(max_depth=4, random_state=0)
tree.fit(X_train, y_train)
print("훈련 세트 정확도: {:.3f}".format(tree.score(X_train, y_train)))
print("테스트 세트 정확도: {:.3f}".format(tree.score(X_test, y_test)))
>>> 훈련 세트 정확도: 0.988
>>> 테스트 세트 정확도: 0.951
반면, max_depth=4로 설정해주면 오버피팅을 막아 훈련 세트 정확도는 아까보다 떨어지지만 테스트 세트 정확도가 더 높아졌습니다.
References
'머신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 - 6. K-최근접 이웃(KNN) (6) | 2019.07.27 |
---|---|
머신러닝 - 5.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6) | 2019.07.25 |
머신러닝 - 3. 서포트 벡터 머신 (SVM) 실습 (0) | 2019.07.18 |
머신러닝 - 2. 서포트 벡터 머신 (SVM) 개념 (14) | 2019.07.15 |
머신러닝 - 1. 나이브 베이즈 분류 (Naive Bayes Classification) (20) | 2019.07.14 |